
Git 설치 Git 설치할 때는 root 계정으로 전환 후 진행합니다. $ sudo su $ sudo yum install git Redmine에 Git 등록 Redmine에서 Git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설정파일에 Git 설치 폴더를 등록해야한다. $ whereis git git: /usr/bin/git /usr/share/man/man1/git.1.gz $ vi {Redmine 설치 폴더}/config/confgiuration.yml.example Git clone 시 주의 사항 git clone 시, --mirror 를 통해 클론해야 bare 옵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redmine에서는 bare 저장소만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bare 저장소는 단순히 저장소의 용도만 지닐뿐, 흔히 알고 있는 r..

설치 환경 OS : Centos 7 DB : MariaDB 모든 과정은 root 계정으로 진행합니다. 1. DB 설치 $ yum -y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 $ systemctl enable mariadb.service $ systemctl start mariadb.service 2. DB 보안 설정 # DB 보안 설정 및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 mysql_secure_installation 보안 설정은 해당 환경에 따라 알맞게 설정해야 합니다. 3. DB 접속 후 database 생성 및 사용자 생성 # DB 접속 $ mysql -uroot -p # redmine 정보를 저장할 DATABASE 생성 (table 은 자동으로 생성됨) [MariaDB] CREATE DAT..

시작한지 얼마 안지난 것 같은데 벌써 마지막 주차라니.. 시간 참 빠른 것 같다. 이번 주 주제는 Django REST framework 실습이다. 먼저 REST는 모르는 단어고 framework는 들어본 것 같다. 아직 알아야할 단어들이 많기에 이번주는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볼 예정이다. 질문1 : REST API, RESTful API란 무엇일까요? 개발자라면 API를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해본 사람이라면 들어는 보거나 읽어는 봤을 것이다. 들어는 봤지만 잘 알지는 못하는 것은 잘 쌓아올린 탑에 중요 기둥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나는 이 기둥들이 없어서 이제부터 천천히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REST는 무엇일까? REST는 프로토콜이나 표준이 아닌 아키..

이번 주 벡앤드 스터디는 서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배우는 주제로 총 세 가지 질문이 주어졌다. 개수는 적지만 어디선가 들어본 말이 정의하기에는 더 어려운 듯이 서버라는 개념은 어디선가 들어봤지만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설명하기는 어려웠다. 이번 시간을 통해서 서버에 대해 방대하진 않더라도 누군가에게는 설명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는 것이 내 목표이다. 질문 1 : 웹 서버란 무엇일까요? '서버' 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영화 속에서 한 방을 가득 채우고 있는 컴퓨터들 사이로 몰래 지나가서 그 사이에 있는 컴퓨터로 타타닥 몇 글자 입력해서 해킹할 때, 바로 그 방을 가득 채우고 있는 컴퓨터가 생각나는가? 아니면 학교 본관 중에 학생들의 발걸음이 잘 닿지 않는 곳에 거대한 컴퓨터들로 가득찬 방이..

두 번째 주제 매주 진행하는 백엔드 스터디 시간이 돌아왔다. 이번 주제는 DataBase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다! 이번 주 질문은 2가지로 지난 주에 비하면 절반이다. 이번 주는 특별히 지난번 무쓸모톤에서 만들었던 장고 모델을 직접 mySQL을 통해 제작해보는 실습이 있다. 공부에 앞서 일단 생각을 해보자, 모델링이란 무엇일까? Django에서 우리가 썼던 데이터베이스 이름이 모델이라고 불렸는데 아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모델링이라고 부르는 것일까? 그래서 지난주에 배웠던 관계 데이터베이스 방식이나 NoSQL 방식 중 선택해서 하는 방식인가? 혼자 골똘히 생각해보았으니 그럼 이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자. 질문1 : Data Modeling이란 무엇일까요? 우선 모델링이란 무..

무쓸모톤을 마무리하면서 운영진들께서 아주 깜짝 선물을 준비하셨다..^^ 바로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나눠 스터디를 구성한 뒤 서로 자발적인 공부를 하는 방식이었다. 공부할 내용은 이렇게 정해져 있다. 발표할 수요일이 되면 나는 질문 4개를 잘 대답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그 내용을 블로그에 적어서 공유하면 된다. 기간은 아쉽게도 8월 한 달 동안 진행될 예정이었고 매주 수요일에 서로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나는 이러한 방식이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이 아직도 떨리는 나로써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서 설렜다. 첫 번째 주제 첫 번째 주제는 "Database의 종류 및 특징 + 쿼리문 이해" 이다. 제목을 보고 작년 2학년 2학기에 데이터베이스 라는 과목을 배운 시절이 생각난다. 우..

무쓸모톤이 이렇게 종료되었고 나는 이 서비스를 그냥 깃허브에 썩히기 아까워서 배포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 생애 첫 배포라서 잘 할 수 있을지 떨렸고 멋쟁이 사자처럼 세션 중 배포는 거의 기도메타(?) 라고 해서 오류와 싸울 생각에 머리가 벌써 아찔했다. 하지만 우리 귀요미 찐품명품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서 배포를 시작했다. 배포가 뭔가요? 장고는 실행 시 각자 다른 DB를 만들어야한다. 왜냐면 내가 만든 DB는 공유되지 않아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포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면 어떤 사람이든지 특정 도메인을 통해 사이트를 들어올 수 있고 같은 DB를 볼 수 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DB를 사용하는 장고라면 더욱 더 배포가 절실했다. 배포를 해봅시다 배포를 하기 전 먼저 pythonan..

프로젝트 마무리 드디어 제대로 마무리를 짓는 프로젝트가 내 깃허브에도 하나 생겼다!! 지난 번에 목표로 삼았던 내가 가치 평가한 제품은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게 구현한다고 했었는데 살짝 실패하면서도 성공했다. 아래는 내가 실제로 구현했던 페이지이다. 내가 구현한 페이지를 보면 네번째 아이템sdaf 가 반복해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게 왜 이렇게 나오냐면 내가 이전에 구현했던 개인 쇼핑몰 구현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주문 내역 부분을 사용했다. 내가 했었던 멋사 프로젝트들 : https://github.com/dvlops87/LikeLion-Project GitHub - dvlops87/LikeLion-Project Contribute to dvlops87/LikeLion-Project develo..

K-HACKATHON 지원과정 이번 1학기에 학교를 다니면서 3학년이라는 사실과 공모전을 좀 나가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찾아보다가 K-HACKATHON(이하 해커톤) 을 신청하게 되었다. 신청 전에는 큰 대회인줄 모르고 신청했고 예선 제출 기한도 종강 이후이기 때문에 맘 편하게 신청했다. 종강 이후 학교에 남아서 주제를 정하고 자세한 서비스 내용을 구상하는데 거의 일주일 넘게 걸린 것 같다. 오직 아이디어만으로 예선을 통과한다 생각하니 더 세심하고 창의적으로 많은 생각을 쏟아내는데 집중한 시간들이었던 것 같다. K-HACKATHON 예선 통과 그렇게 우리는 중소기업을 좀 더 알리고 그들의 상품 뿐만 아니라 서비스, 기업 정신을 알리는 서비스인 '스모어'를 기획하게 되었다. 180팀 중 8개 를 뽑는데 ..

먼저 오늘의 코드부터 보시죠. 여기서 3번 i라는 변수가 나옵니다. 첫 번째 i는 for문에서 조건문을 만들기 위해 쓰였고 두 번째 i는 div에 텍스트 형식으로 값을 넣어주기 위해 쓰였고 세 번째 i는 div에 rgb 값을 지정해주기 위해 function에서 쓰였습니다. 여기서 각각의 i는 어떠한 값을 나타내고 있을까요?? 첫 번째 i는 조건문에서 지정해주는 것 처럼 0부터 255까지 숫자가 지정됩니다. 그래서 for 문 안에서는 0부터 255까지 값을 갖게 되죠. 두 번째 i는 div에 값을 넣어주게 되는데 256이라는 값을 지니게 됩니다. 그래서 위 파일을 실행시켜보면 다음과 같이 div 하나당 숫자 하나씩 지정하게 됩니다. 세 번째 i는 첫 번째 i, 두 번째 i와는 별개의 i 입니다. var i..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