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쓸모톤이 이렇게 종료되었고 나는 이 서비스를 그냥 깃허브에 썩히기 아까워서 배포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 생애 첫 배포라서 잘 할 수 있을지 떨렸고 멋쟁이 사자처럼 세션 중 배포는 거의 기도메타(?) 라고 해서 오류와 싸울 생각에 머리가 벌써 아찔했다. 하지만 우리 귀요미 찐품명품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서 배포를 시작했다. 배포가 뭔가요? 장고는 실행 시 각자 다른 DB를 만들어야한다. 왜냐면 내가 만든 DB는 공유되지 않아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배포를 통해 실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면 어떤 사람이든지 특정 도메인을 통해 사이트를 들어올 수 있고 같은 DB를 볼 수 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DB를 사용하는 장고라면 더욱 더 배포가 절실했다. 배포를 해봅시다 배포를 하기 전 먼저 pythonan..

프로젝트 마무리 드디어 제대로 마무리를 짓는 프로젝트가 내 깃허브에도 하나 생겼다!! 지난 번에 목표로 삼았던 내가 가치 평가한 제품은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게 구현한다고 했었는데 살짝 실패하면서도 성공했다. 아래는 내가 실제로 구현했던 페이지이다. 내가 구현한 페이지를 보면 네번째 아이템sdaf 가 반복해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게 왜 이렇게 나오냐면 내가 이전에 구현했던 개인 쇼핑몰 구현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주문 내역 부분을 사용했다. 내가 했었던 멋사 프로젝트들 : https://github.com/dvlops87/LikeLion-Project GitHub - dvlops87/LikeLion-Project Contribute to dvlops87/LikeLion-Project develo..

목표 앞 글에서 말했다시피 가치 평가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치를 평가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이번 멋쟁이 사자처럼 9기에서 배운 Django를 이용해 구현하려 했으나 멋사 선생님들께서 가치 평가할 때 마다 페이지를 새로고침하게 되면 (Django만을 사용하면 이렇게 밖에 구현이 안된다) 실제 구현된 일반 서비스들과는 다르고 또한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JS를 이용해서 만들어보라고 하셨다. 그래서 나의 목표는 ajax를 이용해 model의 DB를 수정하고 html에 표시하고 다시 DB에 저장하는 것이 나의 목표이다!!! 개발 예열 먼저 개발하기에 앞서 ajax는 무엇일까.. 1학기 때 웹 프로그래밍 과목에서 js를 하면서 얼핏 들어본 기억이 난다. 처음 들었을 때 게임 리그오브..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