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케줄러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입력된 프로세스를 어떤 순서로 실행시킬지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기와 비동기 동기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서로 주고 받는 순서가 같다는 것을 의미하고 비동기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기식 작업은 작업을 요청하고 그것이 응답될 때 까지 기다리다가 다음 작업을 합니다.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란 프로세스 전체가 메모리에 올라오지 않더라도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캐시의 지역성 캐시는 주기억장치에서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해두어 속도를 빠르게 하는 메모리를 의미하며 이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같은 주소에 있는 특정 데이터를 자주 참조할 것 같은 경우를 시간적 지역성이라 하고 데이터 조회 시 데이터가 순서대로 접근 되는 경우를..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Process vs Thread) 프로세스는 컴퓨터로부터 자원을 할당 받아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단위로 한 프로세스에는 여러 개의 스레드가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 스레드끼리는 서로 주소 공간이나 힙 공간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멀티 프로세스 대신 멀티 스레드를 사용하는 이유 멀티 스레드를 하게 된다면 따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자원을 받는 시스템 콜을 하지 않아도 되고 프로세스 간의 통신보다 스레드 간의 통신이 더욱 빠르기 때문에 멀티 스레드를 이용합니다. 주의할 점은 전역 변수인 데이터 세그먼트를 이용할 때 충돌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Thread-safe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스레드가 하나의 객체나 ..

TCP/IP의 개념 TCP는 4계층에서 사용하며 패킷의 손실,중복 등 오류가 없도록 보장하며 이를 통해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P는 3계층에서 사용하며 신뢰성이 전혀 없지만 비연결성이므로 IP 주소를 통해 빠르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인 TCP/IP를 사용하면 IP 라우팅을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며 TCP를 통해 사용자간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쓰입니다. TCP와 UDP TCP는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하며 연결지향적으로 연결 관리를 위한 연결설정이 필요합니다. UDP는 신뢰성이 없으며 비연결지향적이지만 실시간 응용 및 멀티캐스팅에 적합합니다. TCP와 UDP의 헤더 분석 TCP 헤더의 최소 크기는 20바이트이며 연결지향적이므로 순서를 나타내는 시..

OSI 7계층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합니다.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쉽게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OSI 7계층 설명 1계층은 물리 계층으로, 물리적, 전기적 통신이 일어나며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받는 역할을 합니다. 2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정보의 전달을 안전하게 수행합니다. 주로 브릿지나 스위치를 통해 MAC 주소를 참고하여 정보를 주고 받습니다. 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으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합니다. IP 주소에 따라 경로와 주소를 설정하는 라우팅 기능으로 주로 라우터를 이용합니다. 4계층은 전송 계층으로, TCP 프로토콜을 주로 이용하며 사용자들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위해 오류 제어, 흐..
- Total
- Today
- Yesterday